부동산

23년 7월 주간 전국 아파트 매매/전세 동향 및 생각들..

유익한 정보를 주는 남자 2023. 7. 14. 22:56
반응형

전국 0.00% 보합세
서울 및 수도권은 상승세 유지
부동산에 있으면서도 전세가 계약이 많이 나오는 걸 체감하는 중, 낮은 가격의 전세가 속속들이 계약이 되면서 가격이 올라가고 있음.
인천. 세종 상승 나머지 지방 및 5대 광역시는 하락

서울 상승 주도 지역
(강남 3구 + 강동구 + 영등포구 +  용산구)

경기도 상승 주도 지역
(과천시 + 하남시 + 성남시 수정구 + 인천시 연수구)

대단지 아파트 및 양호한 주거단지 위주의 상승세를
보이고 있음.

세종시 상승폭 축소되었으나 하락 지속 중!!
하지만 수도권 반등으로 인한 지방도 반등이 올진 주목 해 봐야 할 사항임.

수도권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 (상세)
전국 아파트 주간 전세가격 동향

전국 -0.02% 하락
서울, 경기, 대전, 세종 제외한 모든 곳 하락 중.
수요가 많은 서울 지역은 이미 많이 빠졌기 때문에, 더 이상 빠지는 것은 서울 쪽에서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상승기조가 보이기 시작함.


교통 및 학군지역 위주
신축위주 상승거래 발생
벌써부터 매물 부족 현상 보이는 중
가격 하락으로 인한 수요발생으로 보임.


전세가격 변동률(세부)

서울 노원 도봉 종로 중랑 지역 하락!
나머지 지역 상승
전세대출 이자지원 및 저금리 혜택 확대 낮은 전세가격이 전세가격 상승요인으로 보임!


5대 광역시 아파트 변동률


부산, 대구, 광주, 대전, 울산
매매 및 전세가 다소진정세를 보이고 있음.

22년 중순 ~ 하반기 부동산 규제정책으로 매수심리 꽁꽁 얼어붙음. 아파트 가격 폭락으로 이어졌으며,  역전세 및 경기침체의 최악의 위기를 보냈으나,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를 위한 정책을 쏟아냄으로써  23년이 부동산 회복세를 보임. 매수심리 및 전세 심리 다시 살아나기 시작한 거로 보임. 거품은 많이 빠진 것으로 보임.

앞으로 정부의 정책이 중요한데 이번의 윤정부는 시장자율경쟁에 부동산을 맡기는 형태로 가지 않을까 생각되며, 앞으로도 시장이 회복되리라 생각됨.

반응형